가을에 물든 백화등잎,
봄이 머잖았는데 아직도 옷 갈아입을 생각하지 않고 있다.
봄이 되면 흰색, 분홍색, 초록색, 갈색 등으로 울긋불긋하게 변하는 모습이 아름다워서일까? 오색마삭줄이라는 이름으로 통용되고 있는 품종이다.
고동색으로 변색해있다가 봄이 되면 잎에 니스를 칠한 듯 반짝이며 온통 초록색으로 자라는 마삭줄, 4, 5월이 되면 새하얀 꽃들이 피어나 온 집안에 향수를 뿌린 듯한 짙은 향기가 매력적인 덩굴성 식물이다.
곧 봄이 오겠지?
2011년 4월 21일날 피어났던 백화등꽃
유인해준 줄따라 거실 유리창을 기어올라가는 백화등, 다음 국어사전에서는 백화마삭줄이라고도 한단다.
백화등과 마삭줄, 항시 헷갈리는 이름이다. 어떻게 불러주어야할 지...
백화등과 마삭줄이 혼용되어 부르고 있다. 백화등이 마삭줄이고 마삭줄이 백화등?
백화등과 마삭줄로 검색해보았다.
백화등(白花藤 Trachelospermum asiaticum)
분류 속씨식물 > 꽃과 풀(쌍떡잎식물)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협죽도과
학명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Nakai) Ohwi
분포 아시아
서식 고산지의 고목이나 바위
크기 약 5.0m
협죽도과(夾竹桃科 Apocynaceae)에 속하는 상록 덩굴식물. 마삭줄과 비슷하나 마삭줄에 비해 크기가 큰 식물로 백화마삭줄이라고도 한다. 흰색의 꽃은 초여름에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어 피고, 열매는 가을에 삭과(蒴果)로 익는다. - 출처 다음 자연박물관
협죽도과에 속한 상록 활엽 덩굴 식물. 길이는 5미터 정도로 자라며 줄기에서 뿌리가 내려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간다. 잎은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잎과 줄기는 약재로 쓰인다. 우리나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백화등 학명은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이다. - 출처 다음 국어사전
- 학명이 같잖아요? 앗? 꽁지 부분만 쬐금 틀리네요? ^^-
마삭줄 학명도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낙석(絡石)이라고도 함.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뜻: 하얀 웃음)
분류 식물 > 나무와 열매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협죽도과
분포 아시아 | 서식지 산과 들, 숲속이나 바위틈. 주로 그늘진 곳
크기 약 5m
협죽도과(夾竹桃科 Apocynaceae)에 속하는 상록덩굴식물
적갈색을 띠는 줄기에서 뿌리가 나와 다른 물체에 달라붙으면서 자라는데, 줄기의 두께는 1㎝ 가량이며 5m까지 뻗는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2~5㎝, 너비 1~3㎝ 정도로 비교적 작다. 잎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 윗면은 광택이 난다. 흰색 또는 노란색의 꽃이 5~6월에 줄기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부리는 5갈래로 갈라졌으며 수술 5개가 꽃부리에 붙어 있고 그 아래에 암술이 나와 있다. 열매는 길이 1.2~2.2㎝ 가량의 골돌(蓇葖)로 가을에 익는데, 2개가 나란히 길게 달리며 끝이 조금 휘어 있다. 봄과 가을에 줄기와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마삭줄은 강장·진통·통경·해열제 등으로 쓰인다. 한국에는 남부지방의 산과 들, 숲속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며 주로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출처 브리테니커
마삭줄
학명.외국명 :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영) Chinese Ivy, Chinese Jasmine, Climing Bagban
상록활엽덩굴식물로 길이 5m까지 자라며 덩굴은 적갈색이고 줄기에서 뿌리가 내려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잎은 타원형으로 마주나기하고 표면은 윤기가 있느며 길이 2~5cm, 폭 1~3cm로 실내에 심어두면 일 년 내내 푸른 잎을 볼 수 있다. 꽃은 5∼6월 새 가지 끝에 5장의 길쭉한 하얀 꽃잎이 선풍기 날개처럼 피는데 시간이 지나면 황색으로 변하고 향기가 있다. 열매는 골돌로 9월에 익는다. 꽃이 아름답고 바위나 나무를 타고 올라가므로 난대지역의 정원석이나 고목내지 큰 나무에에 올려 감상한다. 원줄기와 잎은 약용으로서 해열, 강장, 진통 및 통경약으로 사용한다.
[생육환경]
음지나 양지에서 모두 잘자라나 내한성이 약하다. 해안지방에서 잘 자라고 내공해성은 강하다.
[번식]
실생, 삽목으로 번식한다.
실생 :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그늘에서 말리려 봄에 파종한다.
삽목 : 봄이나 여름에 꺾꽂이해도 발근이 잘된다. - 출처 나무사랑
'식물 탐사 Plant Exploration > 실내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려한 꽃공 - 군자란 (0) | 2012.05.01 |
---|---|
캄파눌라 (bellflowe) 분갈이 (0) | 2012.03.16 |
백량금 겨울나기 (0) | 2012.02.12 |
윌마-Lemon Cypress Tree (0) | 2012.01.30 |
타이거 베고니아 (0) | 2012.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