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꽃처럼 향기롭게, 나무처럼 튼튼히!
식물 탐사 Plant Exploration/약용 식물

이름도 고고한 - 고본

by Asparagus 2008. 10. 16.
반응형

고본

 

잔잔하고 하얗게 피어나는 우리 나라 들꽃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정교한 꽃모양에 감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우리 나라 들꽃들은 산에서 지천으로 만나도 스쳐 지나가버리면 기억에 크게 남지 않지요. 또 이름을 모르는 것이 더 많고요. 2000년과2001년, 만 두 해 동안 들꽃에 미쳐 밤이고 낮이고 식물 도감을 비롯, 동의보감에 빠졌습니다. 그 때 머리 속에 심어 둔 식물들의 이름 덕분, 식물을 만나면 문득 이름이 떠오르는 것이 신통할 따름입니다. 공부한 것이 헛되지는 않았나 봅니다.

 

마당 한 귀퉁이에 절로 난 고본입니다. 산비탈을 깎아 만든 전원주택이라서, 생각지도 못한 들꽃들이 눈에 뜨일 적마다 고맙고 귀하게 느껴집니다. 

 

 

고본!

이름만 생각하면 어쩐지 무뚝뚝한 남성을 연상시키지만,

 꽃이 활짝 핀 고본을 만나면, 정교한 단추들로 치장한 드레스를 입은 우아한 여성이 상상됩니다.

고본잎

2008년 9월 27일 PM 2시 58분 촬영

 

고본에 대해 더 알아보기

 고본[藁本]

  다른이름 : 地新(지신),蔚香(울향),山茝(산채),微莖(미경),鬼卿(귀경),藁茇(고발)
 약       맛 : 신(辛)     
 귀       경 : 방광(膀胱)    
 주       치 : 寒濕泄瀉,寒濕腹痛,皮膚濕疹,風寒濕痺,風寒頭痛,風濕頭痛,巓頂頭痛,外陰部濕疹,外感風寒,頭部白癬
 약용부위 : 뿌리줄기와 뿌리
 처       방 : 강오탕(羌吳湯 ) : 의학입문,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 의학입문
 금       기 : 血虛頭痛, 虛熱이 있는 者는 복용을 忌한다.
 효       능 : 去濕止痛,發表解表,止痒
 주치증상 : <本經>에서는 “여성의 하복부에 극심한 통증, 癥瘕, 생식기가 차고 붓고 통증이 있는 증상, 배가 당기는 증상, 두통을 치료한다. 살을 돋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別錄>에서는 “濕邪를 제거하고 風邪를 제거하고 金瘡을 치료한다. 목욕제와 화장품을 만들 수 있다.”라고 하였다.
甄權은 “160종의 전염병을 치료할 수 있고 風邪가 허리로 들어가 통증과 冷症을 발생시키는 것을 치료한다. 小便을 시원하게 하고 血을 잘 통하게 하고 잘 낫지 않는 두통과 기미를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池大明은 “사마귀, 기미, 딸기코, 여드름, 癎疾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張元素는 “太陽頭痛, 巓頂痛을 치료하고 寒邪가 뇌로 들어가고 통증이 치아와 뺨 부위까지 연결된 경우를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李杲는 “머리와 얼굴 및 전신의 피부가 가렵고 습한 것을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王好古는 “督脈이 병들어서 척추가 뻗뻗하고 시린 것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李時珍은 “癰疽를 치료하며 고름을 배출시키고 瘡口를 막는다.”라고 하였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藁茇<綱目>, 鬼卿<本經>, 地新<本經>, 微莖<別錄>이 있다. 蘇恭은 “약초의 밑동이 벼가 마른 것과 비슷하므로 藁本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本은 뿌리를 뜻한다.”라고 하였다.
李時珍은 “옛 사람들은 이것을 향료로 사용하였는데, 藁本香이라고 하였다. <山海經>에는 ‘藁茇’이라는 명칭이 있다.”고 했다.  출처- 문화원형백과사전홈

반응형

'식물 탐사 Plant Exploration > 약용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댓잎 현호색  (0) 2009.03.28
머위꽃 피다  (0) 2009.03.28
부드러운 톱날 - 톱풀  (0) 2008.10.18
나도 우산 있다 - 천남성  (0) 2008.09.24
약초 코너 - 토현삼, 삼지구엽초, 맥문동  (0) 2008.09.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