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꽃처럼 향기롭게, 나무처럼 튼튼히!
식물 탐사 Plant Exploration/정원 수목

모란, 모란이 피기까지는, 목단(牡丹)자라는 환경, 키우기, 씨앗 발아

by Asparagus 2023. 4. 24.
반응형

큼직한 모란꽃이 피어나고 있습니다. 은은한 향기가 벌을 유혹하고 있습니다만 벌 실종으로 겨우 몇 마리가 날아듭니다.

모란꽃과 꽃봉오리

모란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학명 Paeonia suffruticosa 
꽃색은 흰색, 분홍색, 붉은색 등이 있습니다.
꽃말은 부귀입니다. 꽃이 화려하여 위엄과 품위가 풍겨납니다. 부귀화(富貴花)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옛조상들은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이 그려진 한국화 액자를 집안에 많이 걸어 감상했습니다.
 
자라면 높이 2미터 정도 됩니다. 가지는 굵고 털이 없습니다. 깃꼴 겹잎으로 꽃은 4, 5월에 핍니다. 열매는 8, 9월에 익습니다. 꽃은 흰색, 붉은 보라색, 검은 자주색, 누런색, 흰색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중국이 원산지입니다. 모란은 한자어 ‘목단 牡丹’에서 온 말입니다.  

모란꽃
모란꽃
모란꽃
모란꽃


자라는 환경
햇볕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 메마르거나 척박한 토질이 아닌 적당한 습기를 머금고 배수가 잘 되는 곳이 좋습니다. 
 
키우기 
이른 봄에 모종을 구입하여 심거나 가을에 포기나눔하여 심으면 잘 자랍니다.
 
씨앗 발아
8, 9월에 잘 여문 씨앗을 채취하여 노지에 바로 파종하거나, 포트에  파종합니다. 흙이 마르지 않게 매일 물 주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이듬해 봄에 씨앗이 발아됩니다. 

모란과 꿀벌
모란꽃봉오리

모란꽃은 아침에 햇살을 받으면 피어났다가 저녁에 해가 지면 오므라듭니다.

모란과 꿀벌
모란과 꿀벌

벌 한 마리 혼자 날아들어 꿀 따느라 정신없습니다.

모란꽃봉오리
모란꽃과 꽃봉오리
모란꽃

연분홍 모란꽃이 피어나는 봄날, 꽃 감상하는 것보다 화단에 난 잡초 뽑아내느라 더 바쁜 일상이 되어버리는 요즘입니다.

모란꽃이 피는 정원

모란꽃 핀 모습은 작약과 닮았습니다.작약과 모란 구분법
작약은 다년생 풀로 겨울이 되면 지상부가 말라버리지만, 모란은 낙엽 활엽 관목으로 지상부에서 자란 나뭇가지로 겨울을 납니다. 

모란꽃이  아름다워 김영란 시인이 쓴 '모란이 피기까지는' 문학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5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해설

분류 어문 > 시 > 자유시(현대시)
저작자 김영랑
창작/발표시기 1930년

이 작품은 봄을 기대하는 마음과 봄을 보내는 서러움을 모란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기다리는 정서’와 ‘잃어버린 설움’을 대응시키고 모란으로 상징되는 소망의 실현에 대한 집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시의 중심 소재인 모란은 화자에게 아름다움이자 삶의 보람이며 간절히 소망하는 대상입니다. 화자가 참고 기다리고 또 우는 것도 모두 모란이 피고 지는 까닭에서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자에게 ‘봄’은 모란이 피는 기쁜 시간이지만 모란이 지기 때문에 슬프고 고통스러운 시간입니다.

화자는 모란이 피어 있는 잠깐의 시간을 위해 삼백예순 날의 기다림과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겠다는 자세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자의 태도는 ‘찬란한 슬픔의 봄’이라는 역설적 표현으로 축약되어 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내용을 반복하면서 모란이 피기를 기다리겠다는 의지를 강조합니다. 이는 간절한 소망과 달성의 기쁨, 기쁨의 소멸과 좌절, 그리고 다시 간절한 소망, 이런 반복과 순환의 과정이 바로 삶 자체라는 깨달음을 바탕으로 합니다.

이 시는 언어적 감각과 문학의 순수성을 중요시한 1930년대 시문학파의 경향을 잘 보여 줍니다. 시의 음악성과 시어의 세련된 표현이 두드러집니다. ‘모란’으로 상징되는 아름다움을 위해 자신의 전 생애를 바치겠다는 점에서 유미주의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